호주 워홀 용접이나 배관쪽으로 갈려고하는데... 안녕하세요. 이번에 호주에 워홀 겸 영주권을 목표로 갈려고하는데 기술이민까지 모르는게
안녕하세요. 이번에 호주에 워홀 겸 영주권을 목표로 갈려고하는데 기술이민까지 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물어 봅니다...영어 아이엘츠는 공부중이고 6.0점때 맞춰서 호주로 넘어갈려고하구요가서 용접이나 배관쪽 기술직 일을 할려고하는데 한번도 해본적이없어요...그래서 학교를 다녀야하나 생각도 하는데 어떻게보면 학교말곤 기술을 배우기가 힘들꺼같더라구요...그래서 그런데 학교를 나와서 졸업비자를 받아서 기술이민으로만 영주권을 딸수있는건가요??아니면 워홀기간동안 용접 배관쪽 보조로 일을 해서도 영주권을 딸수가있나요??나이가 이제 마지막이다보니까 경력으로 기술이민이 늦을꺼같아서 대학교는가야할꺼같아서요...1. 나이 만 30세 마지막 워홀에 기술대학교를 안가고 영주권을 노릴수있나요??2. 학교를 가야한다면 워홀 기간동안 용접이나 배관쪽 일은 많나요??(주5~6일)3.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나요?>?4. 용접 배관중 어떤일을 먼저 시작하는게 좋을까요??5. 용접 배관 장단점좀 알려주세요...찾아보니까 너무 말이다른곳이많아서...6. 호주 시드니쪽인데 처음하는 초보도 일 구하기가 쉽나요??7. 용접이나 배관쪽으로 가는 현실적인 루트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8. 번외질문인데 학교를 가지않고도 영주권을 딸수있나요?? 세컨 써드 비자는 없고 마지막 워홀기간입니다.ㅠㅠ만약 다른 좋은 직종이 있다면 추천과 이유도 부탁드립니다...너무 궁금하고해서 잘 부탁드립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호주 교육기관으로 부터 위임받아 네이버에서 활동하고 있는 J실장입니다.
호주 영주권은 쉽게말해서 '직업'을 갖고있는 사람에게 영주권을 주고 호주정부에 이익이 되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초청받아 연방정부 영주권을 받든, 스폰받아 취업 비자를 받든
해당 '직업전문가'라는 인증을 받아야 가능합니다.
이 인증은 쉽게말해서 ANZSCO라고 하는 국가기관의 직업 코드로 분류를 하는데요,
해당 기관에서 규정하는 각 직업들은 학력요건이나 경력요건을 문서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용접같은 경우는, 3년이상의 실무경력 또는 전문대레벨의 전공 학위 라고 규정하고 있어요.
현재 워홀상황에서 3년이상의 경력을 쌓는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기때문에 (써드까지 받는다쳐도, 한 고용주밑에서 6개월가지밖에 일 못하기때문에 연속 근무는 불가능합니다. )
현실적으로 호주의 학교로 진학해서 학업을해서 이 조건을 충족한후에,
졸업생 비자를 받아 영주권 발판을 마련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고 교과서 적인 방법입니다.
워홀은 막차시지만, 다행히도 졸업생 비자 제한 나이인 만 35세는 아직 꽤 남으셨기때문에
안정적으로 학업계획을 세우셔서 영주권 바탕을 세울수있는 기회가 충분히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용접과 배관 둘중하나로 본다면, 용접이 현실적이시고
용접또한 배울 수 있는 학교가 굉장히 한정적입니다.
대부분 TAFE에서는 국제학생에게 제공하지 않고있고있어서
다른분 답변은 아마 자동답변이셔서 그런듯해요.
Welding 과정은 이제 더이상 호주에서 제공하지않고
좀 더 넓은 범위인 Fabrication으로 제공을 합니다.
저는 교육기관으로 부터 위임받아 정식으로 활동하고 있기때문에
별도의 서비스비용등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래 오픈톡으로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