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러브버그를 단 1번도 본적이 없는데 뭐에영? 요즘 최근에 러브버그란게 생긴다는데 이런거 생전 첨 들어봤고 이미지 쳐봐도
요즘 최근에 러브버그란게 생긴다는데 이런거 생전 첨 들어봤고 이미지 쳐봐도 생전 처음보는 거고주변에 다 물어봐도 이런거 본적 없다 그러고제가 사는 도시에서는 아예 없는데 어디가 나타나고 있다는 거에영? 특정 도시에만 상륙하고 있나영?보니까 러브버그가 멕시꼬, 미국에서 최초로 태어난 외래종이던데갑자기 최근에 러브버그가 북상해서 추운 대한민국에 왔다던데 어떻게 온거에영?역시 그놈의 기후변화, 기후파괴, 지구온난화 때문인가여?
러브버그를 한 번도 본 적 없으시다니, 정말 자연의 경이로움(?)을 아직 경험 안 해보셨군요!
그런데 이게 당연할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러브버그는 아직 전국적으로 퍼진 게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출몰하고 있는 외래종이거든요
러브버그란?
이름: 러브버그 (Lovebug, 학명 Plecia nearctica)
출신지: 멕시코, 미국 남부 (플로리다 등지에서 대량 서식)
한국 상륙 시기: 2021~2022년 경 최초 목격 → 본격 확산은 2023~2025년
러브버그가 자주 나타나는 지역
현재까지 대량 발생한 지역은 대부분 서울 서북권 중심이에요:
1. 서울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북한산 인접 / 하천 주변 / 주택가 외벽 등에 주로 출몰
2. 인천 계양구·서구
산과 습지가 많은 도시 외곽 중심
3. 경기도 일부 지역 (파주, 고양, 김포 등)
북서풍 바람 따라 북상한 것으로 추정됨
4. 기타 지방 도시에는 거의 없음
특히 남부 지방이나 강원·충청 쪽에서는 아직 거의 관찰되지 않음
그래서 질문자님이 사는 지역에 없다면, 정말 운 좋게(?) 청정 러브버그 프리존에 살고 계신 거예요!
❓ 러브버그, 왜 갑자기 한국에?
기온 상승 + 겨울 짧아짐
러브버그는 원래 열대·아열대 지역에 살던 곤충인데,
최근 몇 년간 한국의 겨울이 짧고 여름이 빨리 오는 구조로 바뀌면서 생존·번식에 적합한 환경이 생김
기류 + 인위적 유입 가능성
배, 항공화물, 식물 수입 등을 통해 유입됐을 가능성도 커요.
특히 멕시코, 미국에서 오는 물류 루트를 통해 우연히 들어왔을 수 있어요.
도시 열섬현상
콘크리트 도시가 많은 서울 서북권은 기온이 지방보다 1~2도 높고, 습도도 적당해 러브버그가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갖췄어요.
그래서 정리하면…
러브버그는 아직 전국구 벌레가 아니에요!
서울 북서부, 경기 북부 일부 도시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확산 중이고,
기후변화 + 외래종 유입 + 도시 기상 특성이 결합되며 특정 도시에 집중된 현상이에요.
앞으로도 기후가 더 따뜻해진다면 더 남쪽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있어요.
궁금증이 풀리셨다면 다행이고요,
혹시라도 나중에 출몰 지역으로 여행 가신다면…
어두운 옷 입고, 빨래 실내건조 잊지 마세요!
더 깊이 있는 정보는 아래 블로그에서 참고해 보세요.
image 러브버그 퇴치법, 출몰 시기! 실내 유입 막는 방법까지!
매년 여름, 특히 6월이 되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정체불명의 벌레가 대거 출몰하면서 많은 분들이 불쾌감을 호소합니다.이름은 다소 귀엽지만 실상은 성가신 벌레, 바로 러브버그(붉은 등우단털파리)입니다. 이 글에서는 러브버그 출몰 시기, 주요 특징, 효과적인 퇴치법과 친환경 예방법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러브버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쾌적한 여름을 보내기 위한 실질적인 대처법을 지금 확인해 보세요. 러브버그란? 러브버그(Lovebug)는 붉은 등우단털파리라는 이름을 가진 곤충으로,사람을 물지 않고, 질병도 옮기지 않으며 생태계에 도움...
zenith710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