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OV와 수익률모양 유사한 국내상장미국채권ETF는? 현재 미국 지수가 고점인 상황에서 관세 이슈, 물가 상승 이슈,
현재 미국 지수가 고점인 상황에서 관세 이슈, 물가 상승 이슈, 예상되는 경기 하락에 따른 금리 인하 이슈, 오히려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금리 인상 이슈 등등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주식 및 미국 채권 ETF로만 운용중인 연금 계좌에서 파킹 통장 대용 ETF를 운용하려 생각중인데요, 미국 ETF만 있는 연금계좌이기 때문에 파킹 통장으로 미국 SGOV가 딱인데etf check에서 아무리 찾아봐도 SGOV와 같이 경기나 금리와 상관없이 리니어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는 단기 채권형 미국 ETF가 없더라고요, 단기 국채나, 단기 회사채나 등등 여튼 단기라는 이름으로 서치해서 그 중 미국 채권을 봤을 때 SGOV와 같은 리니어 우상향에 적당히 배당도 나오는 그런 것은 찾지를 못했고요, 혹시 이게 환율 때문일까요? 즉, 제가 단기라는 키워드로 서치하면 나오는 국내 상장 미국 채권 ETF들이 만약 환율 변동을 제거한 즉, 헷지 상품이라면 SGOV와 유사한 우상향 그래프일텐데 환율 변동 요인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환율+채권 가격 변동이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는건지,,,SGOV와 같이 계속 리니어 우상향이면 말 그대로 파킹 통장으로 목적에 부합하는데 환율 변동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하는 미국 단기 채권 ETF을 SGOV 처럼 단기 파킹 통장으로 생각해도 되는건지 모르겠네요,그래서 연금계좌이기 때문에 미국 주식 및 미국 채권 ETF만 담겨 있긴 한데,,SGOV와 같이 금리와 경기와 무관한 아름다운 리니어 우상향 그래프를 위해 CD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CD금리가 있고 CD1년금리가 있고 그렇거던요, 운용사 무관하게 둘 중 하나더라고요, 물론 액티브도 있고 아닌 것도 있긴 하던데 대부분 액티브 였고요, 나름 그냥 CD금리도 있고 CD1년금리도 있고,, 수수료도 비슷하고 성과도 그냥 리니어 우상향으로 비슷하고,, 물론 배당 자체가 없는 것도 있고 월배당을 해주는 것도 있고 뭐 그런 차이, 그리고 구성 종목도 꽤 많이 다르더라고요, 대놓고 국고채 이런것 담긴것도 있고 스왑이라는 것만 담긴것도 있고 금융채가 주로 담긴것도 있고,,,이름은 비슷한데 그래서 완전 달라 보이기도 하고 같은 CD금리인데도 그리고 같은 CD1년금리인데도 의외로 담긴것은 꽤 다르기도 하고,, 그래서 그냥 CD금리랑 CD1년금리랑 뭐가 다른걸까요,,,그리고 잘 몰랐었는데 듀레이션 이란 게 있던데,,,어떤건 채권 0.57년 펀드 0.1년,, 또 어떤건 채권 13년, 편드 4년,,,이게 말 그대로 채권이나 펀드 짧은건 전형적인 단기채? 반면, 채권 10년 이상 이런건 중기도 아니고 장기채 같은데,, 이걸 이렇게 해석해버리면 CD1년금리는 중기 혹은 장기채를 담은 CD금리 상품이 되는건지,,듀레이션에 나오는 채권과 펀드 연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SGOV와 수익률 모양이 유사한 국내 상장 미국채권ETF는 없습니다. SGOV는 **환헤지(Hedged)**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미국 단기 국채의 수익률만을 반영합니다. 반면, 국내 상장 미국채권 ETF는 대부분 환노출(Unhedged) 상품이어서 미국 채권 가격 변동과 원/달러 환율 변동이 함께 반영됩니다. 따라서 SGOV처럼 환율과 무관하게 꾸준히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그리기는 어렵습니다.
SGOV와 국내 상장 미국채권 ETF의 가장 큰 차이는 환헤지(Currency Hedging) 유무입니다.
SGOV (환헤지 상품): 이 상품은 미국 달러로 발행된 ETF이므로 원/달러 환율 변동과 무관하게 기초자산인 미국 단기 국채의 가격 변동과 이자수익(배당)만을 반영합니다. 결과적으로 주가 그래프가 환율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우상향하는 '파킹 통장'과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채권 ETF (대부분 환노출 상품): 국내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미국채권 ETF는 환노출형입니다. 이는 환율 변동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ETF의 가격은 미국 채권 가격 +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움직입니다. 만약 채권 가격이 상승했더라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ETF 가격은 오히려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SGOV와 같은 리니어 우상향 그래프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환율 변동이 제거되지 않은 국내 상장 미국채권 ETF를 SGOV처럼 단기 파킹 통장으로 활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환율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기 파킹 통장의 목적은 원금 손실의 위험 없이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환율 위험에 노출된 상품은 이 목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CD금리 ETF'와 'CD1년금리 ETF'는 추종하는 금리의 기준이 다릅니다.
CD금리: 일반적으로 CD(양도성예금증서) 91일물 금리를 추종합니다.
CD1년금리: CD 1년물 금리를 추종합니다. 두 상품 모두 시장 금리에 따라 수익을 추구하는 단기 금융 상품으로, 만기가 짧은 CD를 기초자산으로 하므로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이 매우 작아 SGOV와 유사하게 꾸준히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그립니다. 따라서 파킹 통장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미국채가 아닌 국내 금융 상품이므로, 환율 변동 위험이 없습니다.
**듀레이션(Duration)**은 채권 투자에서 이자율 변동에 대한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듀레이션이 길수록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의 변동폭이 커집니다.
채권 듀레이션: 채권 자체의 만기까지의 평균적인 현금흐름 회수 기간을 나타냅니다.
펀드(ETF) 듀레이션: 펀드가 보유한 채권 포트폴리오의 평균 듀레이션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채권 0.57년, 펀드 0.1년'이라는 것은 펀드가 아주 짧은 만기(듀레이션)의 채권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채권 13년, 펀드 4년'은 장기 채권들로 구성되어 듀레이션이 길다는 의미입니다. CD1년물 ETF도 듀레이션이 매우 짧아 단기 파킹 통장 용도에 적합합니다.
듀레이션이 길다는 것은 금리 변동에 취약하다는 뜻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므로, 듀레이션이 긴 상품은 금리 인상기에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 인하기에는 큰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듀레이션이 짧은 상품은 금리 변동에 덜 민감해 수익률의 변동성이 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