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 지수가 고점인 상황에서 관세 이슈, 물가 상승 이슈, 예상되는 경기 하락에 따른 금리 인하 이슈, 오히려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금리 인상 이슈 등등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주식 및 미국 채권 ETF로만 운용중인 연금 계좌에서 파킹 통장 대용 ETF를 운용하려 생각중인데요, 미국 ETF만 있는 연금계좌이기 때문에 파킹 통장으로 미국 SGOV가 딱인데etf check에서 아무리 찾아봐도 SGOV와 같이 경기나 금리와 상관없이 리니어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는 단기 채권형 미국 ETF가 없더라고요, 단기 국채나, 단기 회사채나 등등 여튼 단기라는 이름으로 서치해서 그 중 미국 채권을 봤을 때 SGOV와 같은 리니어 우상향에 적당히 배당도 나오는 그런 것은 찾지를 못했고요, 혹시 이게 환율 때문일까요? 즉, 제가 단기라는 키워드로 서치하면 나오는 국내 상장 미국 채권 ETF들이 만약 환율 변동을 제거한 즉, 헷지 상품이라면 SGOV와 유사한 우상향 그래프일텐데 환율 변동 요인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환율+채권 가격 변동이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는건지,,,SGOV와 같이 계속 리니어 우상향이면 말 그대로 파킹 통장으로 목적에 부합하는데 환율 변동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하는 미국 단기 채권 ETF을 SGOV 처럼 단기 파킹 통장으로 생각해도 되는건지 모르겠네요,그래서 연금계좌이기 때문에 미국 주식 및 미국 채권 ETF만 담겨 있긴 한데,,SGOV와 같이 금리와 경기와 무관한 아름다운 리니어 우상향 그래프를 위해 CD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CD금리가 있고 CD1년금리가 있고 그렇거던요, 운용사 무관하게 둘 중 하나더라고요, 물론 액티브도 있고 아닌 것도 있긴 하던데 대부분 액티브 였고요, 나름 그냥 CD금리도 있고 CD1년금리도 있고,, 수수료도 비슷하고 성과도 그냥 리니어 우상향으로 비슷하고,, 물론 배당 자체가 없는 것도 있고 월배당을 해주는 것도 있고 뭐 그런 차이, 그리고 구성 종목도 꽤 많이 다르더라고요, 대놓고 국고채 이런것 담긴것도 있고 스왑이라는 것만 담긴것도 있고 금융채가 주로 담긴것도 있고,,,이름은 비슷한데 그래서 완전 달라 보이기도 하고 같은 CD금리인데도 그리고 같은 CD1년금리인데도 의외로 담긴것은 꽤 다르기도 하고,, 그래서 그냥 CD금리랑 CD1년금리랑 뭐가 다른걸까요,,,그리고 잘 몰랐었는데 듀레이션 이란 게 있던데,,,어떤건 채권 0.57년 펀드 0.1년,, 또 어떤건 채권 13년, 편드 4년,,,이게 말 그대로 채권이나 펀드 짧은건 전형적인 단기채? 반면, 채권 10년 이상 이런건 중기도 아니고 장기채 같은데,, 이걸 이렇게 해석해버리면 CD1년금리는 중기 혹은 장기채를 담은 CD금리 상품이 되는건지,,듀레이션에 나오는 채권과 펀드 연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예를 들어, '채권 0.57년, 펀드 0.1년'이라는 것은 펀드가 아주 짧은 만기(듀레이션)의 채권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채권 13년, 펀드 4년'은 장기 채권들로 구성되어 듀레이션이 길다는 의미입니다. CD1년물 ETF도 듀레이션이 매우 짧아 단기 파킹 통장 용도에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