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숙대 부산대 문과기준 숙대 부산대 중에 뭐가 더 높나요

문과기준 숙대 부산대 중에 뭐가 더 높나요
높다는 기준이 뭘 기준으로 잡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입결 비교는 과거와 달리 좀 애매해졌습니다. 이제는 입학생 중 정시 선발이 20%에 불과한데다, 수시 선발은 전형 종류가 교과, 학종, 논술 등으로 다양하기도 하고, 거기에 수능최저 장벽이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 내신 평균과 컷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능최저 장벽이 높다면, 내신 평균과 컷은 좀 낮아진다고 봐야 됩니다. 수능최저가 빡세면 내신만 높은 사람은 떨어지고, 내신이 좀 낮더라도 수능최저 통과한 사람이 붙을 가능성이 더 커지니까요.
수능최저 장벽은 전체적으로 부산대가 더 높은 편입니다. 2026학년도 입학 기준, 숙명여대는 모든 문과 기준으로 국수영탐 중 2합6인데, 부산대 문과는 경영은 3합7이라 꽤나 빡센데다, 경영 제외한 나머지 문과계 과들도 2합4라 숙명여대의 2합6보다 더 어려운 조건입니다. 이공계도 부산대가 수능최저가 더 빡센 편이고요.
각종 고시 전문직 합격실적에서의 비교는 아래 참조해주시고요. 전체적인 학부생 수 자체는 부산대가 19,674명(2024년 기준. 휴학생/졸업유예학생 제외), 숙명여대는 10,172명(2021년 기준. 휴학생 제외)인데, 부산대는 공대가 큰 거지, 문과는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그리고 부산대는 거점국립대 특성상 국가시책에 따라 농학이나 순수인문학(고고학, 한문학 등등) 같은 비인기과가 많이 있는 것도 있고요.
https://youtu.be/3AwXJeCTE6g?si=58bzqeOnO2SxePYn
https://youtu.be/Q-MmiuYdjpk?si=e6kN8i_30i3gaV7L
https://namu.wiki/w/%EA%B0%90%EC%A0%95%ED%8F%89%EA%B0%80%EC%82%AC/%EC%8B%9C%ED%97%98#s-8 image 감정평가사/시험
감정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자격을 얻어 감정평가사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격증 시험 감정평가사 란 타인의 의뢰
namu.wiki
공기업 취업의 경우 부산대가 인서울/수도권대보단 훨씬 유리합니다. 부산에서 큰 공기업들은 남부발전 외에 기술보증기금, 한국거래소,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예탁결제원 등 금융공기업들이고요. 이들은 신입직 중 35% 이상을 부산대 등 부산 지역대학 출신자로 의무채용해야 됩니다.
https://orbi.kr/00042385053 부산대 지방할당 헛소리임 - 오르비
네 아닙니다 ㅋㅋㅋ 경영과 기준으로 말합니다 남들 다 정시 인원줄이고  입결비로 입결높이려 난리인데 국립대스럽게 아무것도 안하니까 입결이 감소하고 별 억까가 다 나오는군요 ㅋㅋㅋ 1)부산대 경영의 입결? 워낙 대형과고 남들 5,60명 뽑을때 혼자 8,90명이상 뽑아서 꼬리는 매년 털리지만 평균입결은 항상 건동홍입니다 경제는 인원이 적어서 꼬리도 ...
orbi.kr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508516806 “블라인드 면접도 싹쓸이”… 공기업 신입, 국립대 쏠림 심화 [심층기획-지역인재 채용의 명암]
전남지역 한 공기업엔 전남대 출신들의 모임이 있다. 국립대인 해당 대학 출신 직원들이 가끔 만나 식사하는 일종의 친목 모임이다. 이 공기업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채용된 신입사원의 59%는 전남대 출신.
www.segye.com
그리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항만공사 등등 상당수 수도권공기업들마저도 부산대면 "비수도권 지역인재"라는 이름으로 신입직 35% 채용할당 + 가산점 먹습니다. 인서울/수도권대는 할당제 가산점 1도 없고요. 공기업(수도권공기업도 포함)을 조금이라도 생각하신다면 인서울/수도권대는 절대 가지 마세요. 대신, 역으로 이용하면 수도권 출신자여도 부산대 등 비수도권 거점국립대 가면 이런 할당제 가산점 다 먹습니다.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30511580415 [사설] ‘비수도권 졸업생 50% 채용’ 개악 발의/수도권 국회의원들 도대체 뭐하고 있나
도내 대학·대학생에 절망 주는 법이 있다.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이다. 여기에 ‘해당 지역’ 졸업생 의무 고용 비율이 있다. 공공기관에 적용되는 것으로 2017년 개정 때 들어 갔다. 첫 적용인 2018년에는 18%였고 매년 3%씩 올렸다. 지난해 3
www.kyeonggi.com
그리고 종합대학 이름값으로 따지만 부산대가 유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유는 부산대가 의대/치대/약대/한의대와 대형로스쿨(판/검/변호사 임용루트)까지 다 가진 종합대학인데다, 부산대 공대도 규모가 워낙 크고 국가지원도 전국6위급으로 많이 받고, 잘나가는 동문들(대기업 고위임원 등)도 많기 때문입니다.
교수 채용할 때도 학/석/박사 출신학벌 다 따지는데, 이때 학벌 따지는 기준은 단순 입시성적이 아니라 QS같은 세계대학랭킹입니다. 의대 등 메디컬이나 공대, 고시/전문직 배출실적이 빈약한 대학은 여기에서 불리합니다. 아니면 ~~IST같은 완전 이공계중점대학이든가요. 문과계열 학과의 교수를 채용하는 것인데도, 출신대학 이름값에서 이공계나 의대 등의 명성의 영향을 받는 셈입니다. 4년 학부과정만 마치고 바로 취업할 거면 크게 와닿진 않겠지만요.
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22423 부산대 환태평양대학협회 회의 첫 참가.. 세계 명문대와 학생교류
[베리타스알파=신승희 기자] 부산대가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대학들의 협의체인 '환태평양대학협회(APRU, Association of Pacific Rim Universities)' 총장연례회의에 참가해 미국 UC 리버사이드, 싱가포르국립대, 홍콩대, 큐슈대 등 13개
www.veritas-a.com
international.pusan.ac.kr/international/14724/subview.do 국제처
부산대학교 국제처, adminss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 adminssion PNU
international.pusan.ac.kr
그래서인지 해외명문대 교환학생 프로그램도 부산대가 매우 좋은 편입니다. 위 링크에서 대학명 또는 국가명 치고 검색하면 부산대 학생들이 어떤 대학교로 교환학생 가는지 다 나옵니다. 세계100위 이내거나 각국에서 SKY급 명문대들로 꽤 많이 갑니다. 홍콩대, 홍콩중문대, 난양이공대(NTU. 2025 QS랭킹 세계12위, 아시아3위), 코펜하겐대, 레이던대, 흐로닝언대(레이던/흐로닝언 모두 네덜란드의 400년 이상된 명문대로 영어 유창.), 취리히대(아인슈타인의 박사학위 모교), 뮌헨공과대(2022년까지 18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야기엘론스키대(폴란드 최초의 대학으로 700년 가까운 역사 자랑. 폴란드의 옛 수도인 크라쿠프에 위치. 동문으로 지동설을 처음 주장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 교황 요한바오로2세, 김상욱 국회의원 등 유명), 캘리포니아주립대 롱비치(캘리포니아주립대 중 탑3급. 위치도 LA옆), 뉴욕시립대, 뉴사우스웨일스대(UNSW), 퀸즐랜드대, 애들레이드대, 오사카대, 큐슈대, 토호쿠대, 홋카이도대(일본 구 제국대학들), 와세다대, 게이오대, 국립대만대(대만의 서울대), 상하이교통대, 난징대, 인민대 등등 세계100위 이내급 내지 그에 준하는 명문대들로 엄청 많이 보내줍니다.
이 정도 교환학생 보내주는 수준이면 연고대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다음 수준입니다. 최대1년간 해외명문대 수재들과 생활/수업 체험할 기회고요. 학비는 현지대학이 아닌 본인 원소속대학교 기준대로 냅니다. 기숙사비(배정은 보통 해줌) 식비는 대개 자부담이나 이것도 장학금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셔서 본인 장단점도 파악해보시고 현지 수재들의 자신감/자존감 넘치는 마인드도 경험해보시는 것도 인생에서 드문 기회라고 봅니다. 때문에 저는 꼭 인서울대여야만 시야 넓어진다 생각하진 않습니다.
문과는 인서울/수도권대들이 수도권 사기업 대외활동 참여에서 편한 건 있는데, 애초에 문과 정규직 선발이 너무 적습니다. 문이과 정규직 채용비율이 2:8이고요. 우리나라 시가총액 30대기업들은 대여섯개 빼면 대부분 제조업/IT입니다. 이들은 공대 위주로 뽑지 문과는 별로 안뽑아요. 게다가 서울에 숙명여대보다 높은 대학들(SKY 서성한 중경외시이 등등...)이 최소 10곳 이상은 되기에, 이들 인서울 상위대 문과생들과 경쟁해서 번듯한 직장 취업하기가 꽤 어렵습니다. 숙대 문과 간다고 무조건 수도권 취업 잘 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공모전/인턴/프로젝트/대회 같은 대외활동 열심히 참여하고 스펙 쌓아서 본인만의 경력을 잘 어필해도 될까말까입니다.
https://finance.naver.com/sise/sise_market_sum.naver image 시가총액 :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exam_new2&no=1237164 애매한 인서울 문과는 매력 없다(펌글) - 수능 갤러리
*서울 선덕고 선배가 후배들에게 대학지원(정시는 지거국 지원하라)에 참고하라고 쓴 글로 보임.문과는 사기업쪽은 포기해라(장문 자세히 읽을것)이것도 못읽을정도면 초등5~6학년 수준이니까. 물론 디씨 대다수는 정신연령이
gall.dcinside.com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hdrldjq&no=646072 홍익대 경영학과 학생입니다.(현실) - 공기업 마이너 갤러리
수능 때 31211 상위 누적 백분위 4.5% 받고 예비 백 몇번 받고 3차 추합 때 전화로 합격자 받아서 홍대 경영 갔었음. 부산대는 원서 안넣었음. 경기도 살아서.지금 홍대&수도권 학생들의 삶1. 1학년 때
gall.dcinside.com
https://www.insight.co.kr/news/427732 부산대 포기하고 동국대 선택한 부산 사람이 졸업 후 ‘후회’한 이유
부산에 살며 ‘인서울’인 동국대를 다닌 졸업생이 학교 선택을 후회하는 글을 남겼다.
www.insight.co.kr
입결은, 저는 애초에 지금처럼 수시로 80%나 뽑는 상황에선 입결 비교가 옛날에 비해 너무 애매모호해졌다고 봅니다. 정시선발은 20%에 불과해서, 그 입학생 전체의 입결을 대표한다고 보기엔 대표성이 너무 떨어진데다, 학종이나 논술전형 같은 경우는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상대적으로 크니까요.
거기에 전국 학교(특목고/갓반고냐, 별 볼일 없는 일반고냐 등등)마다 학생수준이 천차만별로 다 다르니, 최소한 이 학생이 공부머리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능최저 장벽을 두는 건데, 수능최저는 수능최저 조건이 대학마다 다 제각각이라 내신등급만으로는 1대1 입결비교가 어려운 것도 있고요(물론 대체로 명문대일수록 수능최저가 더 빡센 편이긴 하지만).
옛날처럼 깔끔하게 입결비교하려면, "정시(수능)선발 100%"로 하면 싹 해결될 문제이긴 한데, 대학들이 정시보다 수시 선발을 더 선호하는 것도 있어서(정시입학생이 더 자퇴할 확률이 높다는 이유로. 자퇴생이 발생하면 또 편입생 뽑고 이래야 되는데 귀찮고 번거로워지니.) 쉬운 문제는 아닙니다. 전교조 등 일부에서 정시선발 확대하면 공교육(학교수업&내신)이 뒷전으로 밀려난다고 봐서 반대하는 것도 있고요. 정성평가는 다 배제하고 정량평가대로만 평가하는 게 무조건 좋은 것이냐 하는 문제도 있고요.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입결보다 그 학교/과가 학생에게 얼마나 다양한 기회를 주는지에 더 초점을 두고 비교하는 편입니다. 학교/과가 학생에게 다양한 기회를 준다는 것은 여러가지 면에서 볼 수 있겠죠. 그 학교/과 선배진 중에 잘된 사람이 얼마나 있냐(고시/전문직/사회고위직 등 아웃풋 합격실적, 취업의 질 등), 해외명문대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얼마나 잘 갖춰져 있냐, 그 학교/과에서 학생 취업에 얼마나 신경써주냐 등등 말이죠. 물론 본인 적성이 어느 과에 더 가까운지도 중요하고요.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