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천문올림피아드 에서 하는것.. 1,신청하면 하루만 빠지는건가요?2,고1이면 성적이 어느정도 되야 신청할수있나요?3,과학에 대한 아무 지식이

1,신청하면 하루만 빠지는건가요?2,고1이면 성적이 어느정도 되야 신청할수있나요?3,과학에 대한 아무 지식이 없어도 가능하나요?4,거기 만약에 일주일정도 생활한다하면 기숙사를 쓰는건가요? 5,신청만 하면 다 할수있나요?6,시험을 보고 가는건가요?7,거기서 하는게 뭔가요ㅠ
​대한수학회 산하 한국천문올림피아드(KAO) 기준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신청하면 하루만 빠지나요?
아니요. 1차 예선시험은 하루, 2차 및 합숙훈련은 약 5~7일 정도 걸립니다.
즉, 단순히 응시만 한다면 하루지만, 본선이나 교육대상자로 선발되면 일주일 이상 학교를 비우게 됩니다.
2. 고1이면 어떤 성적이 있어야 하나요?
성적보다 천문학·물리학에 대한 이해력과 문제 해결력을 봅니다.
다만 실제 합격자들은 보통 수학·과학 내신 1~2등급 수준이에요.
학교 성적이 꼭 높지 않아도, 꾸준히 준비했다면 충분히 가능성 있습니다.
3. 과학 지식이 전혀 없어도 가능한가요?
정직하게 말하면 어렵습니다.
천문올림피아드는 과학 캠프가 아니라 경시대회라서
물리, 수학, 천문관측 등 기초 지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고1이라면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기초 교재(예: Fundamentals of Astrophysics 수준의 개념 요약서)나
KAO 홈페이지의 기출문제집으로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4. 합숙 기간엔 기숙사를 꼭 써야 하나요?
네, 필수입니다.
합숙훈련은 전국 각지의 참가자가 모이기 때문에
모두 지정된 숙소(대학 기숙사 등)에서 단체생활을 합니다.
5. 그냥 신청만 하면 참가 가능한가요?
아닙니다.
1차 예선시험을 통과해야 2차 본선 및 합숙훈련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예선은 보통 매년 5~6월에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6. 시험이 있나요?
네, 핵심은 바로 시험입니다.
1차: 객관식 중심(물리, 수학, 천문 기초)
2차: 서술형 및 관측·계산 문제
본선(합숙): 실험, 관측, 발표 등 종합 평가
시험 난이도는 고등학교 물리 + 수학 상위권 수준입니다.
7. 그곳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합숙훈련에서는
천체 관측 실습 (망원경 사용, 별자리 식별 등)
천문 계산 문제 풀이
강의 및 멘토링
팀별 연구 및 발표
같은 활동을 합니다.
마지막엔 국제천문올림피아드 대표 선발전도 이어집니다.
정리하면
고1이 처음 도전하기엔 난이도가 꽤 높지만,
“과학적 사고력과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경험” 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대학에서 이 활동을 보면 교수들이 좋아합니다.ㅎㅎ
그만큼 인식이 좋고, 성취감도 큽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