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대학 진학 특성화고 다니는 고1여자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요!1.특성화고 대학진학 많이 어려운 편인가요-만약에 간다면
특성화고 다니는 고1여자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요!1.특성화고 대학진학 많이 어려운 편인가요-만약에 간다면 수시,정시 어떤게 더 괜찮을까요2.간호학과에 관심이 있는데 간호학과를 가기 위해서 어떤걸 준비 해야할까요
A1. 크게 개인의 문제와 환경적 문제 그리고 진학이후의 문제가 크게 작용합니다.
첫번째 개인의 문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가 고교졸업 후 양질의 취업을 하고자 지원하는 경우보다는 가정이 불우하거나, 학력미달등의 요인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이들이 인성적 측면에서 반드시 좋지 않다라고 정의 할 수는 없지만, 앞서말한 요인으로 미성년자 흡연과 음주등 일탈의 수위가 비교적 높은건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내신을 목적으로 진학하는 학생중 학교생활 구조상 대부분 이런 교우관계와 철저히 구별짓기 어려운 만큼 같이 소위 물드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환경적 요인으로 기본적으로 특성화고는 취업이 목적이지, 진학이 목적인 곳이 아닙니다.
일반고의 경우 나름의 자체 DB로 나름 전략적인 입시 분석과 심화반 구성, 야간자율학습 및 주말학습, 자체 문제집등 진학에 초점이 두는 만큼 본인이 의지만 있다면 학종 만들기와 그에 기반한 자료 만들기가 용이합니다.(당연히 학종 워딩도 체계적이고 전문적)
디만, 특성화고는 진학반이 있는 곳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없거나 사실상 공간만 제공하는 지원수준을 제공하는게 많으며 전략적인 분석이 진학인원이 소수인 경우가 많아 그만큼 분석이 어렵습니다.
세번째로는 특성화, 농어촌등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비교적 실제 자기 실력보다 상위 대학에 진학해 수업에 적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영어의 경우 어느정도 독해+프리토킹이 가능하다는 전제로 과제와 전공, 교양이 구성되어 수업 적응에 상당히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공대의 열역학의 경우 제대로된 대학의 경우 영문 전공서를 쓰고, 실제로도 어느경지에 도달하면 영문이 더 편해지는 지경에 도달합니다.
제 전공인 역사의 경우 어학이 중요한데, 제 2외국어인 한문이 수능에 필수가 아니고 한문교사가 많지않아 특성화,일반고,일반고+한문or일본어로 분화되어 학점차이가 심했습니다.
A2. 질문자님이 유리한 수시 전형중 어떤 세부전형을 할 지와 어떤 탐구가 유리한지를 희망대학 리스트를 뽑아 진로선생이든 직접 입학처에 전화를 돌려서 나름의 분석을 해야합니다.
간호학과라도 상위권 시작인 가천대와 비교적 하위인 혜전대,가야대도 다름.